【가-가아(Ga-gaah)】 [이로퀴이 인디언] 현명한 까마귀. 태양의 왕국에서 날아올 때 선량한 창조신 하그웨디유가 대지의 여신의 몸 안에 뿌리던 옥수수 씨앗 하나를 귓속에 숨겨서 가지고 왔다. 그것이 이로쿼이 인디언의 주식이 되었다.
【게데(Ghede)】 [아이티] 죽음과 사랑의 신. 검은 연미복 차림에 검은 중삼모를 쓰고 검은 안경을 낀 채 굶주린 모습으로 "영원한 교차점"에 서 있다. 영원한 교차점이란 사자의 영혼이 신들이 태어난 고향이자 거처인 기네로 가는 도중에 통과하는 장소이다. 게데는 생존해 온 모든 인간들에 대해서 알고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더 현명하다. 게데의 십자가는 부두 교의 모든 묘지에 서 있다.
【게쿠푸(Gekupu)】 [아우카족] 호우를 관장하는 신.
【글루스카프(Gluskap)】 [아브나키 인디언]) 북아메리카 중서부에 살던 알공킨 계의 인디언.
신들과 인간을 위한 놀라운 위업을 이룩한 영웅. 문화를 창설했다. 언젠가는 이 세상에 재림하여 인간들을 구원할 것이라 한다.
【기네마푼(Ginemapun)】 [아우카족] 기네첸의 다른 이름.
【기네첸(Ginechen)】 [아우카족]) 잉카족의 숙적. 잉카가 스페인들에게 멸망한 후에게 끈질기게 스페인들에게 저항했다
최고신. 뜻은 "인간들의 지도자". 기네마푼이라고도 한다. 자연현상 뿐만 아니라 동식물의 생식까지 관장했다.
【기모코단(Gimokodan)】 [민다나오바고보족] 지하세계. 뜻은 "영혼". 민다나오를 둘러싼 어두운 강에 몸이 젖꼭지로 뒤덮인 거대한 여성이 살고 있는데, 그녀는 아이들의 영혼이 그곳을 통과하기 전에 젖을 준다고 생각했다. 기모코단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붉은 곳은 전사한 사람들을 위한 장소이고 하얀 곳은 모든 것이 거꾸로 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승과 같다.
【나스테 에스찬(Naste Estsan)】 [나바호 인디언] 지혜의 여신. 뜻은 "친절한 거미의 여왕".
【나아(Naa)】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셋째딸. 쿠트키나쿠 참조.
【나예네즈가니(Nayenezgani)】 [나바호 인디언]) 북아메리카 남서부에 살던 인디언.
전쟁·문화·빛의 신. 뜻은 "이질적인 신들을 죽이는 존재".
【네나】 [아즈텍] 대홍수에 살아남은 사람의 아내.
【네사루】 [미국인디언] 만물의 주인.
【네쿠몬타】 [이로쿼이(Iroquai) 인디언] 역병에서 인류를 구한 전사. 샤네위스의 남편.
【노쿠마】 [플레아노스(Playanos) 인디언] 창조주.
【노파치스】 [블랙풋(Blackfoot) 인디언] 아내의 말을 듣고 동생을 죽이려던 사람. 아카이얀의 형.
【누우(Nu'u)】 [하와이] 주신(主神). 쿠 케코아의 남편.
【도코니칸(Dokonikan)】 [트로브리안드 제도] 식인 괴물. 투다바에게 살해당했다.
【라키(Laki)】 [캄차카반도] 미티의 여동생.
【라티(Rati)】 [발리] 풍요와 대지의 여신. 뜻은 "에로틱한 욕망". 임신하여 배가 부른 데도 남자를 유혹하는 여성으로 묘사된다.
【로노(Lono)】 [하와이] 농업의 신.
【롱고마타네(Rongo-matane)】 [뉴질랜드] 농업의 신.
【루마나위】 [잉카] 잉카神의 별칭.
【마글라와(Maglawa)】 [필리핀 팅귀안족] 명계.
【마니토우】 [아바나퀴(Abanaqui) 인디언] 자연을 지배하는 신.
【마르웨】 [케냐] 명계를 갔다온 여자. 샤워예의 아내.
【마만 브리짓(Maman Brigitte)】 [아이티] 게데의 아내.
【마우이(Maui)】 [폴리네시아] 협잡꾼의 신. 카날로아의 아들.
【마후이이케】 [폴리네시아] 마우이(Maui)의 고조할머니.
【말숨】 [알공킨] 악의 신.
【뮈릴레】 [케냐] 달나라에 불을 갖다준 사람.
【므니하하】 [이로쿼이 인디언] 히아와타의 딸.
【미들어스(Middle-earth)】 [근대소설] 톨킨의 "반지전쟁"의 무대. "중간계"라고 번역한다. 옛 요정들의 섬이 가라앉은 뒤 미들어스로 넘어온 요정들은 인간과 함께 거주하게 된다. 미트가르트와 같은 뜻이다.
【미차보】 [알공킨] 대홍수에 살아남은 사람.
【미티(Miti)】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아내.
【바코탈(Bakotahl)】 [유마(Yuma) 인디언] 악의 신.
【발로그(Barlog)】 [근대소설] J.R.R. 톨킨(Tolkien) 원작의 '반지 이야기'에 등장하는 괴물. 새까많고 고릴라 같은 얼굴에 등에는 박쥐같은 날개를 달고 있으며 눈은 빨갛게 타고 있고 좌우에 회초리를 들고 있다. 신장은 5미터 가까이 되며 날개를 이용하여 날 수가 있다. '반지 이야기'에서는 모리어의 갱도에서 주인공들이 트롤과 고블린의 습격을 받았을 때 나타난다. 이 때 마법사 갠달프가 혼자서 발로그를 상대한다. 그것은 발로그가 상대하기 쉬운 적이라서가 아니라 오히려 매우 두려운 적이었기 때문에 자신이 방패가 되어 동료들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갠덜프는 발로그를 골짜기 밑으로 떨어뜨려 버렸다. 발로그는 악마의 이미지로 만들어진 괴물이므로 당연히 인간을 증오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발로그를 만난 인간은 싸움에서 이기지 않는 한 도망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밴더스내치(Bandersnatch)】 [근대소설] 루이스 캐롤 원작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아님)'에 나오는 괴물.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는 자바워키의 시 중에서 '사납게 날뛰는 밴더스내치에게 접근하지 마라'는 귀절이 있다. 또 사자와 유니콘의 장에서도 '시간을 멈추게 하는 일은 밴더스내치를 잠재우는 것 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밴더스내치는 매우 난폭한 괴물. 상당히 커다란 개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몸에는 반점이 나 있다. 이빨과 발톱이 날카로우므로 공격시에는 사람이라도 간단히 찢어 죽일 수가 있다.
【뱀파이어(Vampire)】 [수메르, 발칸반도] 뱀파이어란 흡혈귀를 말한다. '흡혈귀=드라큘라'라는 이미지가 강한데, 드라큘라 백작은 근대에 들어와 브램 스토커(Bram Stocker)가 쓴 소설 속에 나오는 것이다. 원래 뱀파이어 자체의 역사와는 별로 상관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뱀파이어에 관한 전설은 세계 각지에 많이 남아 있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수백 명의 악마 중에 뱀파이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드라큘라의 무대가 되는 루마니아의 발칸 지방과 중국, 스코틀랜드, 터키 등에도 뱀파이어의 전설이 남아 있다. 뱀파이어의 특징을 몇 가지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뱀파이어는 인간의 피를 빨아먹고 산다. 뱀파이어에게 피를 빨린 사람은 일단 죽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뱀파이어가 되어 소생한다. 이렇게 해서 뱀파이어는 차례 차례 혈맥(血脈)을 늘려가는 것이다. 뱀파이어는 인간의 피를 빨아먹음으로써 몇 백년, 아니 그 이상 동안 살해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살 수가 있다. 장기간 계속해서 살기 때문에 뱀파이어의 지식 수준은 높으며 강력한 마법도 사용할 수 있다. 뱀파이어가 인간을 매료시킨다는 이야기는 드라큐라 소설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젊은 여자가 핸섬한 드라큐라 백작의 포로가 된다는 식의 이야기인 것이다. 뱀파이어에게는 몇 가지 약점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는 햇빛에 약하다는 사실이다. 햇빛에 노출되면 뱀파이어의 몸은 타버린다. 그밖에 마늘 냄새가 나면 접근하지 못하며 십자가를 두려워한다는 특징이 있다. 뱀파이어는 손 바닥에 털이 나 있으며 거울에 모습이 비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뱀파이어를 죽이는 방법은 뱀파이어가 자고 있는 사이에 심장에 나무 말뚝을 박는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부장(Bujang)】 [보르네오 이반족] 최초의 인간.
【블루 제이(Blue Jay)】 [치누크(Chinuk) 인디언] 협잡꾼.
【비라코차(Viracocha)】 [잉카] 문명의 전파 신.
【사워예】 [케냐] 마르웨의 남편.
【상쿠(Sancu)】 [잉카] 성스런 빵.
【샤네위스】 [이로쿼이 인디언] 네쿠몬타의 아내.
【샤먼(Shaman)】 [전세계무속(巫俗)] 실제로 마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일종의 트랜스상태(忘我상태)에 들어가 조상의 혼이나 신과 교신하거나, 역으로 샤먼에게 신이나 조상의 혼이 내려 샤먼의 입을 통해 말을 하거나 한다. 즉, 샤먼은 마법사가 아니라 신과 혼의 교신자이다.
【센테오틀(Senteotl)】 [아즈텍] 옥수수의 신.
【수나네우트(Sunaneut)】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맏딸. 쿠트키나쿠 참조.
【시후아코아틀(Sihuakoatl)】 [아즈텍] 생식·출산의 여신. 뜻은 "뱀여자".
【아나루클라나우트(Anaruklannut)】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둘째딸. 쿠트키나쿠 참조.
【아난시】 [서아프리카, 브라질] 재치가 뛰어난 사람.
【아오(Oa)】 [폴리네시아] 천신(天神). 뜻은 "남성적 힘, 낮, 하늘".
【아워나윌로나】 [쥬니(Juni) 인디언] 창조주, 태양신.
【아카이얀】 [블랙풋(Blackfoot) 인디언] 노파치스의 동생.
【아툰 아자요(Athun Ajayo)】 [잉카] 파차마마가 창조한 영혼.
【알곤】 [알공킨] 사냥꾼.
【에를랑가(Erlanga)】 [발리] 발리와 자바의 섬들을 지배한 왕. 가루다를 탄 비슈누로 믿어지기도 했다.
【에멤쿠트(Ememqut)】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맏아들. 킬루의 남편. 킬루 참조.
【에스차나틀레히(Estsanatlehi)】 [나바호 인디언] 대모신. 나예네즈가니와 토바지스치니를 낳았다. 태양신 초하노아이의 아내.
【에카틀(Ekatl)】 [아즈텍] 바람의 신. 영웅신 퀘찰코아틀의 화신.
【오르크(Orc)】 [근대소설] 오르크는 J.R.R.톨킨의 걸작 반지 전쟁(The Lord of the Rings)의 나오는 인간에게 적대적인 종족. 민간 전승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오르크의 어원은 로마의 죽음의 신이며 명부(冥府)의 신인 오르쿠스(Orcus)로부터 온 듯하다. 오르쿠스는 에트루리아의 분묘 벽화에는 수염을 기른 거인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용맹한 전사(戰士)로서, 앞을 막아서는 적은 땅에 쓰러뜨리고, 도망치는 겁장이는 발로 차 넘겼다고 한다. 또, 죽은 자들을 먹는 자(者)라고 한다. 나중에는 하데스와 동일시되어 그 모습은 희박해지지만, 중세의 서민들 간에는 검은 날개가 달린 돼지의 머리를 가진 데몬(demon)으로서 믿어지게 되었다. 덧붙여 말하면, 오르쿠스라는 것은 그리이스의 신 포르쿠스(Porcus-남성 돼지)를 라틴어로 읽은 것이다. 포르쿠스는 원래 포르키스라는 바빌로니아 기원의 여신이었다. 하지만 시대의 풍조가 바뀜에 의해 여신을 주신(主神)으로 하는 종교가 금지되게 되어, 어쩔 수 없이 남성화된 것이다. 그(그녀)가 돼지의 얼굴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 것은 그 제물로 돼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이었다. 오르크는 이 오르쿠스로부터 왜지 얼굴을 계승하고 있다. 피부는 두텁고, 다리는 짧고, 손은 가늘고 길며, 입에는 이빨이 튀어나와 있다. 야행성으로, 햇빛과 깊은 강 등에서의 활동은 자유롭지 않다. 오르크의 사회에서는 힘과 잔학성이 존중되어, 자주 서로 먹는 일조차 일어난다. 다른 종족에의 습격을 생업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엘프를 증오하고 있다. 어떠한 일에도 만족하지 않아서, 먹고 있을 때와 싸우고 있을 때(자주 이것은 동시에 일어난다) 이외에는 언제나 기분이 좋지 않다. 오르크의 수명은 짧고, 보통 싸움 속에서 그 생애를 마치지만, 이상하리만치 높은 번식력 때문에 종의 보존은 잘 되고 있다. 자주 인간과의 사이에 하프 오르크(half-orc)라 불리우는 아이를 만들지만, 물론 양쪽의 합의 하에서가 아니고, 오르크의 숫놈이 인간의 여자를 무리하게 범하여 태어나게 한 것이다(혹은 마술에 의해 사람과 오르크를 합성하여 만들어졌다고도 한다). 하프 오르크에게는, 인간으로부터는 꺼려지고, 오르크로부터는 업신여겨지는 슬픈 운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인간의 밑에서 자라난 경우, 사회가 그다지 관용하지 않는 한 방랑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오르크의 밑에서 자라난 경우, 그 능력이 인정되지 않는 한 노예생활을 해야만 하는 처지가 되었다.
【오리샤 늘라】 [요루바, 서아프리카] 만물을 만든 신.
【오메토치틀리(Ometochitli)】 [아즈텍] 취기의 신.
【온테오틀(Onteotl)】 [아즈텍] 주신(主神).
【올란타이】 [잉카] 잉카(Inca)의 전사.
【올로룬】 [요루바, 서아프리카] 하늘의 최고의 존재.
【용(Dragon)】 [그리스, 유럽, 중국, 이슬람] 중국에서는 상서(祥瑞)로운 영물(靈物)로 취급하던 동물. 서양에서는 도마뱀 비슷한 모양의 동물을 부르던 이름. 헤라클레스가 싸웠던 히드라나 지구르트가 죽인 동물이 용이라고 추정한다. 용으로부터 약을 얻는다는 이야기도 상당히 많이 있다. 플리니우스는 드래곤의 눈알을 말려 벌꿀과 혼합하면 악몽에 잘 듣는 약이 된다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황금 양의 모피를 지키고 있던 용은 단 한 순간도 잠을 자지 않았다고 한다. 켈트 신화에서도 '용=보물을 지키는 자'라는 용의 성질이 잘 나와 있다. 중국의 전설에 남아 있는 용의 일종인 지하용(地下龍)도 지하에 묻힌 보물들을 지키고 있다고 한다. 세계 각지의 용 전설에는 '용=신(神)'이라는 이야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이야기에는 인간보다 머리가 좋아 마법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드래곤의 현재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신으로서의 용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티아마트의 이야기(신화의 항 참조)일 것이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티아마트은 다른 신들을 만들어 내는 근원적인 신이었는데, 어떤 이유로 다른 신들과 싸우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마르두크와 싸울 때 티아마트은 용의 모습을 하고 싸웠다고 한다. 용은 이슬람교의 전설에도 등장한다. 신은 대지를 받드는 것으로서 천사를 만들었다. 이 천사를 받드는 것으로 루비의 바위산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바위산을 받드는 것으로 베헤못라는 이름의 용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베헤못는 용이 아니라 거대한 고기였다는 설도 있는데, 북유럽 신화에서 우주나무의 뿌리를 베어먹었던 니드헤그라는 이름의 용(독이 있다)과 닮았다고 한다. 신으로서의 용을 가장 신봉하고 있었던 곳은 중국이다. 네 마리 영수(靈獸)) 다른 세 마리는 봉황, 거북, 기린이다. 붕황은 우리 대통령의 문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의 하나로서 황제의 상징이었다. 중국의 용은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신의 궁전을 떠받치고 있는 천용(天龍), 바람과 비를 관리하는 신용(神龍), 강의 흐름을 지배하는 지용(地龍) 등 모두 신을 도와주는 용이다. 이처럼 용이 신성한 존재로 남아 있는 곳은 중국뿐만이 아니다.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일본의 '가구점 여자' 이야기에서 가구점 여자가 결혼 조건으로 여의주를 가져 오라고 말한 것도 용이 신과 같은 존재이므로 쉽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중국의 용은 날개가 없다. 말과 같은 머리에 몸은 뱀, 독수리 같은 발톱을 가진 4개의 다리, 사슴의 뿔, 악마의 눈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용은 진주를 좋아하여 반드시 진주를 가지고 있다고 전해진다. 중국의 용이 한 가지 종류밖에 없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서양의 용은 입에서 불을 뿜기도 한다. 용은 명이 매우 길어 죽지 않는 한 몇 천 년이라도 살 수 있다고 한다. 용은 또한 변신을 잘 한다. 예를 들어 지구르트가 쓰러뜨린 용 '파브니르'도 변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파프니르의 경우는 용이 인간으로 변신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용으로 변신한 것이다. 중국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천인(天人)이 용의 모습을 하거나 혹은 용이 천인의 모습을 하여 지상에 내려온다는 것이다. 기독교의 전설 중에는 악마인 용을 무찌르기 위해 성인이 활약한다는 이야기가 남아 있다. 기독교가 확산될 때까지 용은 별로 사악한 괴물이 아니었다. 중국의 용이 신성한 동물이었던 것처럼 서양에서도 악마로 불리는 괴물은 아니었다. 그러나 기독교의 영향으로 용은 괴물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괴물이 되어 버렸다.
【위사가트칵】 [크리(Chrie) 인디언] 장난꾸러기 요정.
【으마 수마크】 [잉카] 뜻은 "매우 아름답다". 쿠시콜루르의 딸.
【이네아네우트(Yineaneut)】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딸. 쿠트키나쿠가 여름 집에 두고 온 옷을 말려두라는 말을 듣고 옷을 말리다가 햇님사람 테이켐틸란를 만나 결혼하였다.
【이오이】 [치누크 인디언] 블루 제이의 누나.
【이츠파팔로틀(Ichpapalotl)】 [아즈텍] 뜻은 "흑요석, 나비". 생식, 출산의 여신.
【일페】 [요루바, 서아프리카] 뜻은 "넓다". 지상에 형성된 최초의 땅.
【젤루(Xellu)】 [캄차카반도] 킬루의 어머니.
【조치 필리(Zochi Pili)】 [아즈텍] 꽃의 신.
【좀비(Zombie)】 [미국] 좀비란 시체에 악의 힘을 불어넣어 움직이게 한 괴물이다. 미국 대륙의 흑인이 서구 여러 나라의 노예로 끌려온 것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서구에 끌려온 흑인은 그들의 종교를 버리고 기독교 신자가 되어야 했다. 이 때 흑인들 사이에 전해졌던 것이 부도교였다. 부도교의 승려는 신자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한 가지 마법을 보여 주었다. 그 마법은 시체를 자신의 명령대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었다. 부두교의 승려는 이 마법을 사용하여 부도교를 버리는 사람에게 벌을 주려고 말을 퍼뜨렸다. 이것이 좀비의 유래이다. 좀비라는 단어는 부두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정령의 하나인 즘비의 사투리이다. 부두교의 승려는 이 정령을 이용하여 시체를 움직였다고 한다. 이렇듯 좀비는 근대에 들어와 만들어진 몬스터이지만 시체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움직이게 한다는 이야기는 예전부터 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자신이 마법사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마법을 사용해 보였다. 그 중에는 죽은 사람을 소생시키는 마법도 있었다고 한다.
【주쿠이 아자요(Jukkui Ajayo)】 [잉카] 영혼.
【지페 토텍(Zipe Totek)】 [아즈텍] 샘물의 신.
【찰치우틸리큐(Chalchiutilikyu)】 [아즈텍] 뜻은 "비취치마를 입은여자". 신선한 물의 여신.
【초하노아이(Tsohonoai)】 [나바호 인디언] 태양신. 나예네즈가니와 토바지스치니의 아버지. 에스차나틀레히의 남편.
【촌촌(Chonchon)】 [중남미] 하늘을 날으면서 '촌촌(딱, 딱)'이라고 기분나쁜 울음소리를 내기 때문에 붙은 이름. 마법을 사용하지 않고는 그 모습을 볼 수 없다고 한다. 보통은 소리밖에 들리지 않으며 그 존재를 알아채기는 힘들다고 한다.
【추후트(Chuwuht)】 [피마(Pima) 인디언] 창조주.
【카날로아(Kanaloa)】 [폴리네시아] 바다의 신. 오징어 형상. 나그네들이나 병자들은 카날로아의 축복을 빈다.
【카다클란(Kadaklan)】 [필리핀 팅귀안족] 최고신. 번개의 신. 충견 키마트와 함께 하늘에 산다.
【카빌라카】 [잉카] 코니라야(Koniraya)가 사랑한 여인.
【케찰코아틀(Quetzalcoatl)】 [마야] 창조와 문명의 신. 백인의 모습.
【코니라야】 [잉카] 후아카의 일족.
【코마쉬탐호(Komashtam'ho)】 [유마(Yuma) 인디언] 뜻은 "코코마흐트의 계승자". 창조주 코코마흐트(Kokomaht)의 아들.
【코아틀(Coatl)】 [아즈텍] 거대한 뱀의 등에 날개가 나 있는 모습.
【코아틀리큐(Kotlikyu)】 [아즈텍] 뜻은 "뱀치마를 입은 여자". 생식, 출산의 여신.
【코코마흐트(Kokomaht)】 [유마(Yuma) 인디언] 창조주.
【코타맘틸칸(Kotxamamtilqan)】 [캄차카반도] 쿠트키나쿠의 둘째아들.
【콘 티키(Con Tiqui)】 [잉카, 폴리네시아] 창조신.
【콘 티키 비라코차(Kon Tiki Birachocha)】 [잉카] 창조주.
【쿠(Ku)】 [폴리네시아] 뜻은 "곧추선다". 태양, 남근(男根)의 신. 농업, 어업의 신.
【쿠망(Kumang)】 [보르네오 이반족] 대모신. 최초의 인간 부장이 살았던 낙원을 다스렸다.
【쿠시콜로르】 [잉카] 올란타이의 아내. 잉카(Inca)의 딸.
【쿠 케코아】 [하와이] 주신 누우(Nu'u)의 아내.
【쿠트키나쿠(Qutkinnaqu)】 [캄차카반도]) 코락족(Koryak)의 신화.
무당. 미티의 남편. 아들 에멤쿠트, 코타맘틸칸, 딸 수나네우트, 아나루크라나우트, 나아, 이네아네우트의 아버지. 큰 까마귀(大烏)라는 관직을 갖고 있었다. 어느날 바닷가에 나갔다가 모래밭에 누워 있는 왕게를 태고 바다 밑으로 가게 되었다. 거기서 말린 물개고기를 마음껏 먹을 수 있었으나 물을 마실 수 없었다. 왕게의 아들들이 쿠트키나쿠의 딸들과 결혼하기 위해 일부러 물을 주지 않았던 것이다. 쿠트키나쿠는 딸들을 주겠다는 약속을 하고 물을 얻어마실 수 있었다. 왕게의 아들들은 쿠트키나쿠의 집을 찾아와 수나네우트, 아나루크라나우트, 나아와 결혼하였다. 손자들이 어느 정도 자라자 사위들을 자기네 집으로 돌려 보냈다. 어느날 아들의 팔이 부어 몹시 아파할 때 까마귀 옷과 지팡이를 갖고 갈매기와 토끼를 집으로 데려와 울도록 하였다. 그러자 아들의 팔은 부은 것이 가라앉아 곧 나았다.
【크왑타으(K-waptah-w)】 [크니스테노(Chnistenoe) 인디어] 대홍수에 살아남은 사람.
【클로스쿠르베】 [아바나퀴(Abanaqui) 인디언] 대스승.
【클리스캅(Kluskap)】 [알공킨] 선, 지혜, 창조의 신.
【클링(Kling)】 [보르네오 이반족] 전쟁의 신.
【키네】 [폴리네시아] 뜻은 "남자". 최초의 남신.
【키마트(Kimat)】 [필리핀 팅귀안족] 최고신 카다클란의 충견.
【키킬잔(Cicilxan)】 [캄차카반도] 미티의 오빠. 쿠트키나쿠의 사위들과 함께 바다로 가서 그곳에서 결혼하였다.
【킬루(Kilu)】 [캄차카반도] 젤루의 딸. 이네아네우트의 여사촌. 이네아네우트가 여름집에서 좋은 신랑을 얻은 것을 보고 자기도 여름집으로 갔으나 창피만 당했다. 킬루는 집으로 가기가 망신스럽고 화가 나서 자기 몸을 물어 뜯어 뼈만 남았다. 젤루는 딸의 뼈를 풀로 엮은 자루에 담아 다락방에 얹어 두었다. 킬루가 죽은 후에도 킬루와 결혼하기 위해 킬루의 집에서 여러 명이 일하고 있었다. 그 중 이남티란이 고기 대가리에서 눈을 빼 들고 누가 이곳을 먹을 것인지 장남삼아 말했을 때 다락방의 자루속에 있는 킬루의 뼈가 대답을 했다. 다들 놀라서 도망치고 젤루가 달려나와 도마로 킬루의 머리를 때려 기절시켰다. 쿠트키나쿠의 아들 에멤쿠트가 그 자리에 있다가 킬루가 정신을 차리자, 자루를 풀어 꺼내 주었다. 그 속에서 되살아난 킬루가 나왔다. 킬루는 에멤쿠트와 결혼하여 톰오게트를 낳았다. 킬루 부부는 겨울이면 해의 나라로 가서 살고, 봄이 오면 쿠트키나쿠의 마을로 와서 살았다.
【타네마후타(Tane-mahuta)】 [뉴질랜드] 숲의 신.
【타렌야와곤】 [이로쿼이 인디언] 하늘을 받치던 신, 히아와타의 다른 이름.
【타타】 [아즈텍] 대홍수에 살아남은 사람. 네나의 남편
【타휘리마테아(Ta-whiri-matea)】 [뉴질랜드] 바람의 신.
【탕가로아(Tangaroa)】 [뉴질랜드] 바다의 신.
【테스카틸포카(Tezcatilpoca)】 [마야] 케찰코아틀과 싸웠던 악의 신.
【테이켐틸란(Teikemtilan)】 [캄차카반도] 햇님사람. 이네아네우트의 남편.
【테테오이난(Teteoinan)】 [아즈텍] 신들의 어머니.
【토나티우(Tonatiuh)】 [잉카] 제5세계의 주신. 산 인간제물을 요구.
【토바지스치니(Tobadzistini)】 [나바호 인디언] 전쟁·문화·어둠의 신. 뜻은 "물의 아이". 나예네즈가니의 동생.
【톰오게트(Tomwoget)】 [캄차카반도] 킬루의 아들. 뜻은 "절로 난 아이".
【투마타우엥가(Tumatauenga)】 [뉴질랜드] 전쟁, 불화의 신.
【투바다(Tudava)】 [트로브리안드 제도] 종유석의 물방울에 의해 잉태하여 처녀의 몸에서 태어난 영웅. 농업기술을 소개하고, 제도와 도덕를 만들었다. 어느날 도코니칸이라는 괴물이 동쪽섬에 나타났다. 그 괴물은 사람들을 잡아먹었는데, 라바이 부락의 한 처녀가 발을 다쳤다. 그녀의 형제들이 동굴속에 그녀를 버려두고 다른 섬으로 도망가 버렸다. 그녀의 아들, 투바다는 어머니로부터 창만드는 기술과 퀘이가파니(kwoygapani)라는 주술을 배웠다. 그는 주술로 괴물을 홀린 다음 목을 잘라 죽였다. 투바다는 괴물의 목으로 요리를 하여 외숙을 찾아갔다. 외숙은 그와 그의 어머니를 버리고 도망친 죄책감으로 자기 딸과 결혼시켰다.) 트로브리안드 제도는 모계제 사회이기 때문에 재산과 권위의 상속은 외숙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외숙이 자신이 보호해야할 여동생과 조카들을 버렸기 때문에 그에 대한 보상으로 근친상간의 범위에 드는 자기 딸과 결혼을 시켰다. 부계제 사회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모계제사회에서 조카와 외숙간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투아(tua)】 [보르네오 이반족] 개인의 수호령. 뱀이 가장 일반적인 수호령이지만 살쾡이, 사슴도 투아로 갖기도 했다. 사람들은 꿈을 통해 자신의 투아를 알게 된다.
【투파크 유팡키(Tupac Yupanqui)】 [잉카] 서기 12세기경의 Inca황제.
【툰파(Thunpa)】 [잉카] 십자가를 만든 지혜로운 사람.
【틀라츠오테오틀(Tlachoteotl)】 [아즈텍] 성욕의 신.
【틀랄록(Tlalok)】 [아즈텍] 비의 신. 산꼭대기에 사는 비의 정령들 틀랄로크들의 지도자.
【티라와 아티우스】 [포니(Pony) 인디언] 뜻은 "지배자, 주인". 만물을 창조한 신.
【티에홀트소디】 [나바호(Navaho) 인디언] 세번째 세상의 거대한 물뱀.
【파레】 [뉴질랜드] 명계에 갔다 살아온 여자.
【파파투아누쿠(Papatuanuku)】 [뉴질랜드] 신들의 어머니.
【펠레(Pele)】 [폴리네시아] 화산의 여신.
【포(Po)】 [폴리네시아] 뜻은 "여성적 원리, 밤, 땅". 대지의 여신.
【포이아(Poia)】 [블랙풋(Blackfoot) 인디언] 뜻은 "흉터있는 얼굴". 태양춤을 배워 질병을 쫓은 인간.
【피닉스(不死鳥, Phoenix)】 [중국, 이집트, 수메르] 불사조. 일반적으로 피닉스의 수명은 500년이라고 한다. 부모 페닉스가 죽으면 그 시체에서 다음 피닉스가 나온다고 한다. 모습은 독수리와 비슷하며 붉은 색이 조금 도는 금색을 띠고 있다. 그러나 독수리보다 훨씬 커서 수십 미터나 된다는 설도 있다. 중국에 전해오는 불사조는 일본에서도 봉황으로 알려져 있다. 한 쌍의 봉황은 영원한 사랑이라는 의미가 있다.
【필란(Pillan)】 [아우카족] 돌풍·홍수·화산을 관장하는 신.
【하그웨디유(Hahgwehdiyu)】 [이로쿼이 인디언] 창조주.
【후미아티키티키(Humia-tikitiki)】 [뉴질랜드] 야생식용식물의 신.
【후에후에테오틀(Huehueteotl)】 [아즈텍] 불의 신.
【후이치포크틀리(Huichipoktli)】 [아즈텍] 태양신.
【후익스토치후아(Huikstochihua)】 [아즈텍] 소금물과 바다의 여신. 찰치우틸리큐의 동생.
【후투(Hutu)】 [뉴질랜드] 명계에서 살아돌아온 사람.
【히나(Hina)】 [폴리네시아] 뜻은 "아래로 기운다". 명계(冥界)의 신. 여성의 수호여신. 쿠와 함께 다른 신들을 낳은 부모.
【히네티타마(Hine-titama)】 [폴리네시아] 뜻은 "새벽 여자". 두번째 여자. 키네의 딸이자 아내.
【히네하우오나(Hine-hau-ona)】 [폴리네시아] 뜻은 "흙으로 빚어진 여자". 최초의 여자. 키네의 아내.
【히아와타】 [이로쿼이 인디언] 뜻은 "하늘을 떠받치는 자". 영웅신(神).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