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 my blog with Bloglovin FraisGout: 한국의 빈부격차 ("소득격차" "고용격차")

한국의 빈부격차 ("소득격차" "고용격차")

 최근에는 세계 각지에서 '빈부의 격차에서 오는 빈곤문제'가 확대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즉, "많은 사람이 가난하다"가 아니라 "일부 사람이 가난하고 격차를 수반하는 빈곤"이며, 또한 "그 일부 사람의 비중이 전체의 10%를 넘는 상황에 되어 있는 나라가 늘고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상황은 "격차에 따른 빈곤으로 인해 사회 불만이 쌓여 사회 분열의 위기로 발전해 갈 가능성이 있다."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img_0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한국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 국내 정보에 따르면 “한국의 단신 가구의 절반 가까이가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한다. 특히 독거노인은 10명 중 7명이 빈곤 상태이며, 혼자 사는 여성의 빈곤율은 남성보다 높았다고 보고되어 수면 아래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에 의해 나타나 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기준으로 단신세대 중 가처분소득이 중위소득(전세대를 소득 순서대로 늘어놓을 경우의 중앙값)의 50%에 미치지 않는 가구의 비율(상대적 빈곤율)은 47.2%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 15.3%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가처분 소득이란, 고상대로 개인 소득(근로·사업·재산·공적 이전 소득) 중 세금·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소비나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해, 생활의 여유도 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단신세대의 빈곤율은 2016년의 54.0%에서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 2020년 47.2%로 감소 경향에는 있습니다만, 아직도 혼자 사는 사람 중, 2명 중 1명 미만은 경제적 곤궁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또한 혼자 사는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들수록 빈곤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여성 단신 가구의 빈곤율은 55.7%로 남성의 34.5%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65세 이상의 고령 단신 가구의 빈곤율은 2020년 기준으로 72.1%로 보고되었습니다. 이어서 50~64세(중년층) 38.7%, 19~34세(청년층) 20.2%, 35~49세(장년층) 19.5% 순으로 빈곤율이 되고 있습니다. 여성 고령자의 경우 빈곤율은 43.9%로 남성 고령자의 빈곤률 32.7%보다 높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한국의 격차 확대 속에서의 빈곤 문제는 아직 현재화되지 않았지만, 한국의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동향을 따르고 싶습니다.


한국에서 심각화하는 세대간 고용격차


한국의 고용환경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취업상황을 자세하게 보면 정부에 의한 시책의 영향으로 고령층 고용환경이 개선되는 한편 젊은층 고용환경이 악화되는 등 세대 간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다.

■실업률은 크게 저하
한국에서는 고용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2023년 실업률은 2.7%로 2020년 피크에 비해 1.3%포인트 하락했다. 고용 확대는 실업률을 낮추고 있으며 취업자 수는 코로나 선전인 2019년 8월부터 2023년 8월에 걸쳐 132만명 증가했다. 이 배경에는 경기 회복이 있습니다. 코로나사에 의한 내외수 부진으로 경기는 한때 크게 떨어졌지만 경제활동이 정상화됨에 따라 경제성장률은 코로나연전의 순항속도를 되찾고 있다.

무엇보다, 취업자 수의 증가를 자세하게 보면, 세대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 떠오른다. 아래에서는 고용을 둘러싼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배경이 된 정부의 각종 시책에 대해 설명한다.

■ 고령자에게 치우치는 고용회복
제 1의 문제점으로서 고용회복이 고령층에 집중하고 있어 젊은층의 고용 상황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019년 8월부터 2023년 8월에 걸쳐 취업자수는 60세 이상에서 가장 증가(+151.8만명)한 반면 49세 이하에서는 감소(▲45.6만명)하고 있다. 고령층과 젊은층의 차이에는 정부의 고령자 고용 지원책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정부고용범위의 증가와 ②민간부문에서의 고용창출지원책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우선 정부고용범위의 증가는 공익사업, 전문지식·기능활용, ESG사업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2022년에는 총 70.6만건의 고용틀이 마련됐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고령자를 위한 고용창출 실적은 2019년에 +68.4만명, 2020년에 +77.0만명, 2021년에 +83.6만명, 2022년에 +88.2만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약 80%가 정부 고용범위에 따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민간부문에서 고령자 고용창출책도 고령층 고용을 밀어 올렸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이 정년에 이른 고령자를 1년 이상 계속 고용한 경우 분기마다 고용자 1인당 90만원이 급여되는 예산 조치 등이 강구되었다.

이러한 고령자 고용 촉진책이 실시된 배경에는 고령자의 빈곤 문제가 심각화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2024년에는 아기 붐 세대의 대부분이 정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1999년에 도입된 연금 제도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은 것이 고령 빈곤층의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의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등가가처분소득이 소득의 중앙값을 밑도는 자의 비율)은 40%를 넘고 있으며,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러한 상황의 타개를 위해 정부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고용 지원책을 실시했지만, 결과적으로 고령층의 고용 증가와 대조하여 젊은층의 고용 감소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 젊은층에서 진행되는 비정규 고용화
제 2의 문제점으로서, 젊은층의 고용이 정규에서 비정규로 시프트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0세 이상에서 정규 고용 비율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15세에서 29세 사이에는 정규 고용 비율이 떨어지고 있다. 이는 정부에 의한 긴축적인 재정조치가 일인이 되고 있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효율화를 목표로 공무원의 정원을 재검토한 결과 신규 채용자수는 2019년의 41,322명에서 2023년에는 21,009명으로 거의 반감했다. 게다가 윤 대통령이 취임한 뒤 기업용 젊은이 채용지원금 규모가 대폭 삭감됨에 따라 민간기업의 신규 채용도 감소했다. 정사원 채용의 길이 막힌 젊은이들은 비정규 구인이 많은 숙박업과 음식업 등에 직업을 요구했기 때문에 젊은층의 비정규 비율은 상승하고 있다.

■ 앞으로도 고용격차가 확대
이처럼 젊은층에 비해 고령층을 우대하는 정책대응의 배경에는 한국의 인구동태 변화가 있다. 2010년대 후반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의 비율이 젊은이의 비율을 넘어 그 이후 양자의 괴리는 확대의 일도를 따랐다. 정부는 정권운영에 있어서 고령자의 의견을 중시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선거마다 노인을 우대하는 정책이 채택되어 세대간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앞으로도 정부에 의한 각종 지원책의 효과로 고령자 고용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자 고용 및 사회활동 지원 예산은 2024년 전년 대비 +31.6% 증가하여 고용창출 목표도 103만 건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고령노동자의 처우 개선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정부고용 전체에서 임금 인상이 실시될 전망이다.

한편, 젊은층의 고용환경은 계속해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정원이 동결되는 가운데 공적기관 취업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간 기업에서도 고령층을 우대하는 정책이 계속 활용되는 것 외에도 최근에는 기업들 사이에서 실무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도 있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한 젊은층의 고용이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다. 물론 정부도 손을 돌리고 있는 것은 아니고, 젊은층을 포함해 직업훈련의 확충 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고용에 연결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젊은층의 고용 악화는 눈앞의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보아도 낮은 출생률을 한층 더 낮추고 중장기적인 성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우려된다.

사진·도판

한국의 소득격차


  •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빈곤과 소득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신형 코로나에 의한 판데믹이 격차 확대의 새로운 요인이 되고 있다.
     
  • 2018년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가구소득이 중앙값의 절반을 밑돌고 있는 사람의 비율, 이하 '빈곤율')은 16.7%로 2018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OECD 평균의 11.7%를 크게 웃돌았다. , 회원국 중 5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한 재분배소득 지니계수는 2016년 0.355에서 2020년에는 0.331로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동기화 사이의 초기 소득 지니 계수는 0.402에서 0.405로 상승했습니다.
     
  •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씨가 참가하고 있는 '세계 불평등 연구소(World Inequality Lab)'가 발표한 '세계 불평등 보고서 2022(World Inequality Report 2022)'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상위 1위 % 부유층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7%였다. 더욱 상위 10%로 보면 전체의 46.5%를 차지하고 있다.
     
  • 한국의 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고령자의 빈곤율이 높은 것, 노동시장의 '이중구조'(labor market dualization)가 강해지고 있는 것, 젊은이의 고용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빈곤과 소득격차가 심각화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빈곤과 소득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신형 코로나에 의한 판데믹이 격차 확대의 새로운 요인이 되고 있다.

2018년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가구소득이 중앙값의 절반을 밑돌고 있는 사람의 비율, 이하 '빈곤율')은 16.7%로 2018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OECD 평균의 11.7%를 크게 웃돌았다. , 회원국 중 5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빈곤율이 한국보다 높은 나라는 코스타리카(20.9%), 미국(18.1%), 라트비아(17.5%), 이스라엘(16.9%)뿐이다. 게다가 이 시점에서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3.4%로 OECD 평균 14.8%보다 약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한 재분배소득 지니계수 1 은 문정권이 탄생하기 전인 2016년 0.355에서 2020년에는 0.331로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동기 사이의 초기 소득 지니 계수 2 는 0.402에서 0.405로 상승했다 (그림 2). 정부로부터의 연금급여(공적연금과 기초연금), 수당, 조성금등의 급부는 늘었지만, 대기업 종사자와 중소기업 종사자, 정규 노동자와 비정규 노동자, 자산을 가지고 있다 자와 자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 등 사이에 소득 격차가 퍼졌기 때문이다.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씨가 참가하고 있는 '세계 불평등 연구소(World Inequality Lab)'가 발표한 '세계 불평등 보고서 2022(World Inequality Report 2022)'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상위 1위 % 부유층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7%였다. 더욱 상위 10%로 보면 전체의 46.5%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부유층과 저소득자층의 격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높은 노인 빈곤율이 전체 빈곤율을 밀어 올리는 요인으로

한국의 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고령자 빈곤율이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그렇다면 왜 한국에서는 고령자 빈곤율이 40%를 상회할 정도로 높은 것일까. 그 이유 중 하나로 한국에서는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역사가 아직 얕은 것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88년에 ‘국민연금’이 도입되어 ‘국민여러연금’까지 확대된 것은 1999년이다. 이처럼 공적연금제도가 아직 20여년밖에 지나지 않아 가입 기간이 짧았던 지금의 고령자는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이 적다. 게다가 2020년 현재 국민연금의 노령연금 수급률은 약 38.5% 3 로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지 않은 고령자도 많다.

게다가 기업에 있어서 60세 정년이 최근 의무화된 것도 노인 빈곤율을 높인 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60세 정년이 의무화되지 않았고, 많은 노동자들은 50대 중반부터 후반에 회사로부터의 퇴직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퇴직 후에 많은 근로자는 생계를 유지하고, 또한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퇴직금 등을 사용(경우에 따라서는 빚을 지고)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잘 작동하는 사람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그 결과 고령자의 빈곤은 가속화되고 소득격차는 더욱 확대하게 되었다.

공적연금이 급부면에서 성숙하지 않은 한국에서는 많은 노인들이 자신의 아이나 친척으로부터의 송달 등 사적인 소득 이전에 의존하여 생활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어린이 수가 줄어들어 장기간 경기 침체로 인해 젊은층의 취업도 엄격해지고 있어 아이로부터 사적인 소득 이전을 기대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한국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2017~2067'에 따르면 고령자 한 명을 지지하는 현역 세대의 수는 1970년 17.5명에서 2020년 4.6명까지 급속히 떨어지고 있으며, 2065년 에는 1.0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앞으로는 공적연금 등의 공적인 소득 이전에도 가족이나 친척으로부터의 사적인 소득 이전에도 의지하기 어렵고, 자신의 노후는 스스로 준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취업 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2020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샐러리맨의 74.1%가 노후 준비가 “잘 안 된다”고 답했다. 그 주된 이유로는 '현재 소득이 원래 적다'(51.1%), '어린이 교육비가 들기 때문에'(25.3%), '모기지'(23.3%)가 상위 3위를 차지했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확대

다음으로 소득격차가 확산되고 있는 이유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labor market dualization)가 강해져 대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 정규노동자,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 노동자 등 1차 노동시장과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 비정규노동자, 노동조합 없는 기업 노동자 등 2차 노동시장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2021년 3월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4 에 따르면 2019년 시점의 상용노동자 5~499명 기업의 1인당 1개월 평균 임금은 338만원(약 32.2 만엔 ) , 상용노동자 500명 이상 기업의 579만원(약 55.1만엔)의 58.4% 수준임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20년 전인 1999년 71.7%를 13.3%포인트나 밑도는 수치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정규 노동자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한국의 비정규노동자 비율은 2007년 이후 계속 감소하고 2015년에는 32.0%로 본격적으로 조사를 시작한 200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되었으나 그 후 다시 증가하고 2021년 8 월의 비정규 노동자 비율은 38.4%까지 상승했다.
한국의 비정규 노동자 증가는 1997년 아시아 경제 위기에 빠진다. 한국 정부는 IMF로부터 대출을 받는 조건으로 기업, 금융, 공공부문, 노동시장 등 4개 부문에서 구조개혁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특히 노동시장에서는 정리해고제 도입과 근로자 파견법 제정 등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 도입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기업도산과 실업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불안이 높아지는 가운데 IMF의 요구를 그대로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정리해고제의 법제화 등을 포함한 노동법의 개정은 1997년에 이루어졌지만 노동계의 반대로 그 시행시기는 2년 후에 연기되었다.

정노사의 합의를 얻기 위해 한국 정부는 1998년 노동조합과 경영자 대표, 그리고 정부대표가 참여하는 협의기구 '노사정위원회'를 마련해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사회협약'을 발표해 정리해고제의 조기실시나 파견노동을 합법화하는 등 90개 항목의 합의사항과 21개 항목의 2차 협의 과제를 제시했지만, 이별을 마쳤다.

이처럼 한국에서는 정리해고제 시행이 연기되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협약'이 체결되지 않은 가운데 IMF 경제위기는 기업의 고용조정을 가속시키고 노동자들이 차지하는 비정규노동 사람의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IMF 경제위기 이후 정부가 기업을 통제하는 것이 이전보다 어려워진 것도 기업의 구조조정과 비정규노동자의 고용을 증가시킨 또 다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취업 어려움으로 젊은이의 격차가 확대

젊은이들의 고용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것도 빈곤과 소득격차를 심각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15~29세의 젊은이 취업자 수는 2020년 376.4만명에서 2021년 387.7만명으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실업률도 9.0%에서 7.8%로 1.2%포인트 떨어졌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판데믹에 의한 침체로부터 반동증가의 측면이 강해 정부의 재정지출도 고용을 밀어 올리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젊은이의 취업자 수는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394.5만명까지는 회복되지 않았으며, 젊은이의 실업률 7.8%는 전체 실업률 3.7%에 비해 2배 이상이나 높은 상황이다.

더 문제는 실제 실업률이 통계 실업률보다 높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로 한국에서는 (1) 15세 이상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노동력 인구의 비율이 높은 것, (2) 비정규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것, (3)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은 것 등 를 들 수 있다.

한국 정부는 기존 실업률이 노동시장 실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2015년부터 매월 발표하는 '고용통계'에 실업률과 함께 '확장실업률'을 공표하고 있다. '확장실업률'은 국가가 발표하는 실업자에게 잠재적인 실업자나 불완전 취업자(주 18시간 미만 일하는 자)를 더해 실업률을 재계산한 것이다. 이러한 계산방식에 의해 산출된 2022년 1월 시점의 15~29세의 확장 실업률은 19.7%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인 실업률 7.8%를 2.5배나 웃도는 수치다.

한국의 고용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젊은이들이 노동시장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로는 저성장이 뉴노멀이 됨으로써 성장과 고용의 연계가 약해지고 노동시장 중구조'가 확대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에는 10% 전후였던 경제성장률은 그 후 계속 떨어지고 최근에는 2~3%에 그쳤다. 게다가 2020년에는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0.9%까지 저하했다. 대학을 졸업하면 취직이나 정규직이 당연했던 386세대 6 과는 상황이 크게 바뀌어 안정적인 일을 얻기가 어려워진 것이다.

또한 대기업, 정규노동자,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 등의 1차노동시장과 중소기업, 비정규노동자, 노동조합이 없는 기업 등 2차노동시장의 격차가 확대된 것도 젊은이들이 노동시장 참여를 망설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한국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노동자와 비정규노동자 간 임금 격차가 크기 때문에 젊은이의 대부분은 1차 노동시장에 들어가기 위한 수단으로 '학력'을 선택하고 고졸자 의 약 70%가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그러나 1차 노동시장의 수요량은 공급량을 크게 밑돌기 때문에 대졸자의 일부만 1차 노동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학력에 의한 차별화만으로는 불충분해져, 학력만으로 1차 노동시장에 들어가기가 어려워지면, 젊은이는 노동시장에서 차별성을 가지는 수단으로서 「스펙」을 선택하게 되었다. 스펙(SPEC)이란, Specification의 약어로, 취업 활동을 할 때 요구되는 대학의 성적, 해외 어학 연수, 인턴 근무의 경험, 자원봉사 활동, 각종 자격, TOEFL 등 공인의 어학 능력 증명 등을 의미 한다. 2000년대에는 대학명, 대학 성적, TOEIC 성적, 해외로의 어학 연수 경험, 자격증이라는 이른바 5대 스펙이 취직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었지만, 2010년대에는 기존의 5대 스펙에 , 자원봉사 활동, 인턴십 경험, 수상 경력을 더한 8대 스펙이 기본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8대 스펙 이상의 스펙을 준비하고 있는 젊은이들도 늘고 있다. 스펙을 많이 준비하는 편이 1차 노동시장에 참가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젊은이들의 대부분은 취업랑인을 해도 스펙을 준비하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상술 한 젊은이의 「확장 실업률」을 높인 주요 요인이다.

게다가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이후 젊은이의 취업 환경은 이전보다 엄격해졌다. 많은 기업에서 신졸 채용 규모를 축소해 신규 채용을 일시 중단하는 기업까지 나타났기 때문이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가 일어나기 전에는 한국의 좁은 노동시장을 떠나 해외 노동시장에 도전하는 젊은이가 매년 증가하고 있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자료에 따르면 해외 취업자 수는 2013년 1,607명에서 2019년 6,816명으로 증가했다. 사상 최악이라고도 불리는 한일 관계 중에서도 일본에서 취업자는 늘어나 해외 취업자의 30% 이상(35.6%, 2,429명)이 해외 취업처로 일본을 선택했다. 그러나,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러한 선택조차 빼앗게 되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젊은이들의 대부분은 '공무원 지망'에 의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이 되는 것도 쉽지 않다. 2022년 5,672명을 채용하는 9급 국가공무원 채용시험에는 165,524명이 지원했다. 지원 배율은 29.1배에 이른다 7 . 많은 젊은이들이 공무원 낭인을 하면서 공무원을 목표로 하지만 낭인을 해도 공무원이 될 수 있는 보증은 없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는 향후 한국의 사회, 경제를 더욱 어둡게 할 가능성이 높다. 보다 많은 젊은이들이 연애, 결혼, 출산, 취직, 마이홈, 인간관계, 꿈 등을 포기하는 입장에 놓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문정권은 젊은이의 고용을 늘리기 위해 수많은 고용 대책을 실시했지만, 많은 일은 임시적·단기적 일에 치우쳤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러한 임시적·단기적인 일은 「티슈 인턴」이라고 불리고 있다. 티슈처럼 일회용되기 때문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