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검색

개인의 부를 먼저 추구해야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권에서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중산층을 대표하는 가난한 아빠와 부유층을 대표하는 부자 아빠를 대비하면서 돈이 부족한 것이야말로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설명한다. 가난한 아빠는 좋은 학교를 나오고 안정된 직장을 얻어 월급이 많아도 늘 쪼들린다. 소득이 늘수록 세금이 많아지고 소비도 늘기 때문인데, 결국은 돈에 휘둘리는 인생을 살게 된다.
그러나 부자 아빠는 그와 다르다. 돈 관리에 능한 그는 좋은 직장을 구하기보다 좋은 회사를 만들라고 권한다. 수입이 생기면 부채를 줄이고 계속 수익이 나올 수 있는 자산에 투자해 마침내는 금전적으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리면서도 세금혜택을 받아 세금은 더 적게 낸다.
저자는 부동산과 작은 주식을 통해 개인 금융을 키운다. 노동과 생산활동으로 부를 축적하기보다는 돈으로 돈을 버는 방법, 즉 자산이 수입을 가져오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사람들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돈을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 금융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는 게으름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2권은 수입을 얻는 방식을 수학의 4분좌표를 통해 설명한다. 현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봉급생활자, 자영업자 혹은 전문직 종사자, 사업가, 투자가 등 네 부류로 나누고 현금흐름 4분면이라는 좌표를 통해 각 그룹의 특성을 비교하면서 궁극적으로 어느 그룹에 속해야 진정한 경제적 자유의 길을 얻을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그러면서 돈을 먼저 지출해 부채를 만들고 갚기를 반복하면 평생 돈의 노예 신세를 면치 못하지만, 돈을 남겨 투자하면서 수입을 얻는 사업가나 투자가가 되면 돈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게 된다고 말한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3권에서 강조하는 것은 돈의 ‘90대 10’의 논리다. 인구의 10%가 전체 돈의 90%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 10%에 들기 위해 저자는 5단계 투자전략을 제시한다. 자신을 통제하라, 투자유형을 결정하라, 강력한 사업체를 만들어라, 궁극적인 투자가가 돼라, 용기있는 자가 돼라.
투자가들은 인정받는 투자가, 자격있는 투자가, 능숙한 투자가, 내부 투자가, 궁극적인 투자가 등 다섯 유형으로 분류된다. 궁극적인 투자가가 되려면 사업 자체를 운영해야 하며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그저 특정 사업에 불과한 단계라고 한다. 그러므로 강력한 사업체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세 권 모두에서 저자는 개인적 부의 축적에만 관심을 기울일 뿐 기업이나 국가 등 다른 경제주체의 부의 창출에는 전혀 무관심하다. 그가 말하는 부의 축적 방식은 새로운 생산과 고용을 이끌어내지 않으며, 공동체적 부의 상승과도 무관하다.
이런 점을 이기적이라고 비난할지 모르지만, 나는 바로 그런 점을 높이 평가한다. 왜냐하면 개인의 부를 먼저 추구하는 태도가 자본주의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 책들에서 봉급생활자나 자영업자는 사업가로 변신하고 그 뒤에 투자가가 돼야 한다든가, 많은 것에 대해 조금씩 아는 것이 더 좋다든가, 서른 살 이전에 알거지가 되는 것이 좋다든가 하는 말들에는 나도 전적으로 공감한다. 가난한 사람이 계속 가난한 것은 돈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는 말도 맞는 말이다. 그의 부동산 투자 사례 중 경매로 산 집을 팔아 수익을 남기는 것 역시 나도 써본 방법이다(우리나라에서는 이런 방법이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불로소득으로 간주되지만 저자는 가장 현명한 부의 축적방식으로 본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저자 기요사키가 돈을 번 곳은 주로 부동산 투자와 투자조언사업이라고 하는 사실이다. 그가 벌인 다른 사업은 모두 망했다. 그가 독자들에게 줄기차게 사업가가 될 것을 권유하면서도 정작 사업을 하려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정신자세나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이 빈약한 이유도 그 때문이 아닐까. 3권의 제4부에서 강력한 사업체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긴 했지만, 내가 사업가, 투자가, 경영자로서 볼 때 그 부분 역시 저자가 약점을 보이는 곳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